실패를 사랑하는 직업
실패를 사랑하는 직업 | 요조 | 마음산책 | 2021
모른다는 말로 도망치는 사람과 모른다는 말로 다가가는 사람. 세계는 이렇게도 나뉜다. p.96
심보선 시인은 시는 두 번째 사람이 쓰는 거라고 했다. 두 번째로 슬픈 사람이 첫 번째로 슬픈 사람을 생각하며 쓰는 거라고. p.96~97
'나는 나의 남은 인생을 내 주변의 멋진 사람들을 흉내내면서 살고 싶다.' p.114
경청의 한계를 알면서도 넘어서려 하는 얼굴. 이해를 다 하지 못한 게 분명한데도 절대 이 대화를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가 담긴 결연함으로 반짝거리는 눈빛은 아마도 인간이 지닌 최고의 아름다움 중 하나가 아닐까 하고 생각한다. p.151
초등학교를 다니면서 단 한 번도 내가 어리고 불완전한 존재라고 생각해본 적이 없다. 나는 충분히 세상을 알 만큼 알고 있으며 이만하면 충분히 컸다고 늘 생각했다. 학교 공부도, 애들과 노는 것도, 그러다가 다투는 것도, 맘에 드는 상대 때문에 맘을 졸이고 상대의 마음이 내 것 같지 않아 상처를 받고 하는 일들도 어리다고 해서 어설프고 가볍지 않았따. 내가 성인이 되어 경험했을 때와 다름없이 언제나 진지하고 심각했다. p.161
나는 그 구겨진 얼굴들을 보며 이제 절대로 '저렇게까지 흥분할 일이야?'하고 생각하지 않는다. 죽고 싶을 만큼 매일같이 겪는 불평등과 차별들, 아무리 좋게 말해도 듣지 않고 변하지 않아 결국 얼굴이 꾸깃꾸깃 구겨진 채로 거리에 나온 노동자들과 여성들, 장애인들, 그 밖의 약자들. 언제 어디서든 어떤 구겨진 얼굴을 마주했을 때 '얼굴을 펴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무엇이 당신의 얼굴이 이렇게 구겨지도록 만들었는지를 문는 것. 최대한 자주 그 구겨진 얼굴을 따라 옆에 서는 것. 책방을 운영하면서 힘들고 귀하게 배운 태도이다. p.176
-
마음산책 북클럽 선물로 받은 책. 좋아하는 요조 작가의 책을, 실패를 사랑하는 귀여운 지우개와 함께 받아 감사한 마음으로 읽었다.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세상의 질문 앞에 우리는 마주 앉아
세상의 질문 앞에 우리는 마주 앉아
2021.03.06 -
그냥, 사람
그냥, 사람
2021.03.06 -
카운터 일기
카운터 일기
2021.02.11 -
우리 직업은 미래형이라서요
우리 직업은 미래형이라서요
2021.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