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돈독하게
오늘부터 돈독하게 | 김얀 | 미디어창비 | 2020
월 200만 원을 받아 월 100만 원 저금이 가능하면 연봉이 5,000만 원이라도 저축 한 푼 못하는 사람을 부러워할 필요가 없다. 우리가 집중해야 하는 것은 얼미를 버느냐가 아니라 얼마를 남기느냐다. p.37
대체 자산이 얼마나 있어야 '부자'라고 할 수 있을까?
나 나름으로 조사를 해본 결과 한국에서는 보통 금융자산이 10억 원쯤 되면 문자 그대로 '부자'의 줄에 섰따고 본다. 대다수 한국 부자들의 자산이 부동산에 집중되어 있기에 금융자산 10억 원이라 함은 총자산이 못해도 최소 20억 쯤은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p.70
어느 책을 봐도 부자가 되는 돈 관리의 핵심은 딱 두 가지뿐이다.
1. 아끼거나
2. 소득의 사이즈를 키우거나 p.82
통장 쪼개기는 보통 4개의 통장을 만드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1. 월급 통장: 일명 수입 통장.
2. 지출 통장: 카드값, 공과금 등이 빠져나가는 통장.
3. 목적성 저축 통장: 주택 청약이든, 여행 통장이든, 1년에 1,000만 원 모으기 적금 통장이든 목돈 만들기 통장.
4. 비상금 통장: 일반적으로 본인 월급의 세 배를 비상금 통장에 넣어둔다. p.135
뻔한 사이클에서 우리를 구원해줄 소극적 수입은 무엇인가? 영어로는 패시브 인컴(Passive income), 직역하자면 내가 소극적으로 움직여도 들어오는 수입이다. 다른 듯 비슷한 말로는 부수입, 불로소득 등이 있다. p.147
워런 버핏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는 방법을 찾아내지 못한다면 당신은 죽을 때까지 일을 해야만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 잠을 자는 동안에도 돈이 들어오게 하려면 소극적 수입이 있어야 한다. p.147~148
부자책의 핵심
1. 아껴라: 돈과 시간과 체력을
2. 사랑하라: 돈과 가족과 내가 하는 일을
3. 실행하라: 남들과 다른 시선으로, 구체적은 목표를 세우고, 지금 당장!
-
올 한 해는 소비의 해였다. 수입은 예년과 비슷한데 결혼이라는 일생일대의 행사를 치르느라 소비가 엄청났다. 인간 두 명이 살아가는 데에는 생각보다 필요한 게 많아서 그 소비는 여전히 진행 중이다. 먼저 결혼한 선배들의 말을 빌리자면 결혼하고 사계절을 채워야 비로소 갖출 걸 다 갖추게 된다고.
그래도 내년부터는 소비를 좀 줄여 보고자 연말을 맞이하여 돈 관리나 재테크에 관한 책을 읽고 있다. 내가 소극적 수입으로 택한 것은 창고 임대. 내가 택했다기보다는 아빠의 주도로 이루어진 일이지만, 뭐라도 하나 마련해 놓은 것 같아 든든하긴 하다. 일단 창고 짓느라 받은 대출부터 열심히 갚아 보자.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마감 일기
마감 일기
2021.01.03 -
살면서 한 번은 짠테크
살면서 한 번은 짠테크
2020.12.05 -
김지은입니다
김지은입니다
2020.12.05 -
상관없는 거 아닌가
상관없는 거 아닌가
2020.11.04